Hello, stranger
Hello, stranger는 익숙함을 파괴하는 아이데이션과 함께 Creative Action을 목적으로 기획되었습니다.
						‘Hello, stranger’는 수강자들 간에 오랜만에 만나는 반가움과 함께 교육이 진행되면서 부딛치며 느끼게 될 서로의 다름과 틀림을 의미하는 낯섦을 의미합니다.  
						반대로 이러한 낯섦과 반대되는 익숙함을 통해 ‘봄(見)’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함으로써
 
						새로운 결과물을 도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Scamper(Substitute, Combine, Adapt, Modify/Magnify/Minify/Put to other uses, Eliminate, Reverse)를
 
						기반으로 진행되는 Creative13만의  해체주의적 창의 프로그램입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Section I : 낯선 익숙함(시각의 결핍을 통해 확인하는 ‘봄(見)’의 의미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ction I-1 - 강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에스레프아르마간을 시작으로 다양한 예술가에게서 ‘봄’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시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촉각의 시각화를 통해 ‘봄(見)’의 스펙트럼 인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ction I-2 - 블라인드 자화상
							- 주제: 네가 그린 자화상
							- 안대를 이용하여 시각을 차단하고 촉감만으로 색을 분별하여 자화상을 그리는 시간
							- 자화상의 개념을 내가 나를 그리는 것이 아닌 타인을 통해서 그려진 나의 모습을 통해 새롭게 발견
							- ‘봄’의 대상을 얼마나 잘 보고 있는지에 대한 자기 재점검
							- 재료: 안대, 다양한 촉감을 느낄수 있는 천으로 만든 색채 도구, 도화지, 다양한 물건
							- Step 1. 자리에 앉은 후 자신의 앞사람 관찰하기
							           2. 안대를 착용하고 촉감에 따라 색이 다른 채색 도구를 이용하여 도화지에 관찰한 대상의 자화상을 그리기 
							          (Hidden)3. 공통된 대상을 그리기
							- 촉감에 따라 색이 다른 채색 도구: 촉감이 느껴지는 천 혹은 그 외 것을 손으로 쥐면 느낄 수 있도록
 
							  다양한 채색도구에 감싸 준비된 채색 도구. 촉각을 통해 시각을 표현함으로써 공감각적 시각을 이해
							- 공통된 대상을 그리기: hidden주제로 진행. 공통된 대상을 지목하여 그리게 함으로써
							  다양한 시각을 통해 도출된 이미지들에서 ‘봄(見)’의 다양함을 발견 하는 시간. 
							- 발표 및 피드백 : 작품 발표를 통해 공유 및 공감
                        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: Activity를 통한 ‘봄(見)’ 의 재정의
							
Section II : 익숙한 낯섦(해체주의’를 통한 Creative Action)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ction II-1 - 강연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다양한 예술가를 통해 ‘해체주의’를 이해하고, ‘해체주의’적 작품들에게서 영감을 얻어 습관적 반복 사고를 깨는 시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ction II-2 - Creative Action 
							- 해체리스트 작성
							   : 주어진 대상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분해함으로써 그 리스트를 작성하고 대상을 새롭게 인식하는 시간
							   1) 해체리스트: 준비된 리스트 표에 분해된 대상을 간단한 이미지로 표현하고 특징과 색깔, 형태등을  적어냄
							   2) 주어진 대상: 선물로 준비된 물건들을 받아 임의로 분배
							   3) 분해: 최소한의 단위 형태로 분해 할 수 있을 때까지 분해
							- 당신에게 우리의 Creative를 팝니다
							   : 해체된 대상들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대상으로 창조하는 시간
							- 재료: 목재, 공구함, 아크릴물감 등 채색 도구 및 표현 도구, 분해된 물건 등 
							- Rule: 새롭게 도출된 대상을 판매 및 홍보를 위한 다양한 매체(영상,지면 등)를 준비하여야 한다
							   1)새로운 대상: 강의자가 사전에 준비한 대상 중 하나를 뽑아 결정
							   2)판매 및 홍보: 새롭게 만들어진 대상을 이벤트성으로 판매하기 위해 제품의 사용설명법, 특징 등을 새롭게 도출하여 이미지와 영상 등을 통해 준비
							- 발표 및 피드백: 작품 발표를 통해 공유 및 공감 및 새롭게 만들어진 대상에 대한 피드백